창조적 음악치료 모델
창조적 음악치료, 또 다른 이름으로는 Nordoff & Robbins 음악치료 모델로 불립니다. 미국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였던 Paul Nordoff와 영국의 특수교육자 Clive Robbins의 이름을 따서 노도프-라빈스 음악치료 모델로 불리게 된 것이죠. 미국에서 음악대학 교수였던 폴 노도프는 유럽으로 안식년을 떠났는데 거기서 영국의 특수교육가 클리브 라빈스를 만나게 됩니다. 이들의 만남이 오늘날 창조적 음악치료, 노도프-라빈스 음악치료 모델이 탄생하게 된 시작이었습니다. 1958년 이후 폴 노도프는 전문 음악가로서의 길을 버리고 음악치료사로서의 새로운 길을 개척합니다. 이후 클라이브 라빈스와 함께 오랜 시간 장애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임상과 연구에 전념합니다. 노도프-라빈스 음악치료 모델은 창조적 음악치료라고도 하는데 거기에는 이 모델의 중재 방법과 핵심 철학을 설명하는 모든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우선 노도프-라빈스 음악치료에서 치료사의 음악은 주로 즉흥연주입니다. 치료사는 내담자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음악적 형식을 사용하기도 하고, 때론 내담자가 내는 소리, 행동, 전반적인 무드를 음악적으로 반영하는, 내담자로부터 음악을 구성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접근법을 작곡적 즉흥연주, compositional improvisation라고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작곡이라고 하면 작곡자 혼자 오랜 시간 숙고하고 계산하여 음악을 완성하는 것이지만 음악치료 즉흥연주를 위한 작곡은 내담자와의 소통을 위해 치료사가 자신의 음악적 자원과 치료사로서의 통찰을 '지금-여기'라는 치료적 상황에서 활용하는 것입니다.
음악 아동
두 번째로는 노도프-라빈스 음악치료의 핵심 철학인 음악 아동, 영어로는 music child라는 데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사람들은 장애 유무, 지능이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음악에 반응하고 음악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죠. 우리 안에 음악 아동을 일깨우는 것, 우리 안에 음악 아동과 만나는 것은 개별화된 음악성과 만나는 것이기도 하죠. 다시 말해 인간의 타고난 음악성은 보편적인 것이며 그 타고난 음악성은 각각의 고유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죠. 이 고유함을 표현하는 것을 창조성이라고 합니다. 진짜 자기와 만나고 그것을 음악으로 표현하는 것이 창조성의 발현이자 치료인 것입니다. 음악치료 세션에서 창조적 음악치료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먼저 아동의 음악 안에서 만나기입니다. 치료사는 아동이 무의미하게 만들어내는 음성, 악기 소리, 행동 등을 음악적으로 모방 또는 반영하면서 아동이 '여기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인식하게 합니다. 아무리 인지가 낮더라도 대부분의 아동들은 자신의 모든 것이 음악을 통해 반영될 때 '이게 뭐지?'라는 그런 느낌을 갖고 반응하죠. 음악을 통한 만남의 단계입니다. 아동이 자신을 반영하는 치료사의 음악을 인식하면 아동의 음악적 반응 불러일으키기를 유도합니다. 자극을 통한 동기부여의 단계입니다. 아동은 치료사의 음악에 반응하고 자발적이고 의도적으로 상호적 음악을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아동과 치료사와의 상호 반응성 발전 단계
세 번째 단계는 아동의 음악적 기술, 자유로운 표현, 치료사와의 상호 반응성을 발전시키는 단계입니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관계를 기반으로 아동의 발달을 위해 새로운 방향 속으로 이끌어가는 단계이지요. 노도프-라빈스 음악치료의 모든 세션은 녹화됩니다. 음악치료에서 일어난 일들, 즉 아동이 보인 반응과 중요한 순간들을 자세히 고찰하기 위해서죠. 이러한 면밀한 세션 분석을 통해 치료사들은 발전적인 치료의 방향성을 찾아갑니다. 노도프-라빈스 음악치료의 모델을 창시한 두 분은 모두 돌아가셨지만 이 모델의 음악치료는 계속 후배 음악치료사들에 의해 계승 발전되고 있습니다. 그럼 노도프-라빈스 음악치료 모델이 어떤 것인지를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과의 음악치료 과정을 통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음악 치료, 좋은 음악, 음악 치료 효과, 태교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음악과 나쁜음악으로 나누었던 고대 역사 (0) | 2022.07.24 |
---|---|
청소년과 음악의 관계와 특징 (0) | 2022.07.24 |
음악과 뇌파의 관계 (1) | 2022.07.23 |
음악의 사회적 기능 구분과 역할 (0) | 2022.07.23 |
음악적 감정 반응 종류와 현상 (0) | 2022.07.23 |